zz12345의 코딩 공부

www.acmicpc.net/problem/10799

 

10799번: 쇠막대기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

www.acmicpc.net

문제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 -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
  •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 

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준다.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 점은 레이저의 위치,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이다.

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다.

  1.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 ) ’ 으로 표현된다. 또한, 모든 ‘( ) ’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한다.
  2.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 ( ’ 로,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 ’ 로 표현된다. 

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다.

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려지는데,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려지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려진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주어졌을 때, 잘려진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include <iostream>
#include <stack>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string str;
    stack<char> stack;
    cin>>str;
    int num=0;
    int stick=0;
    for(int i=0;i<str.size();i++)
    {
        if(str[i]=='(')
        {
            stack.push(str[i]);
            stick++;
        }
        else
        {
            if(stack.top()=='(')
            {
                stick--;
                num+=stick;
                stack.push(str[i]);
            }
            else
            {
                num++;
                stick--;
            }
            
        }
        
    }
    cout<<num;
}
cs

 

풀이

우선 입력 문자열에서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가 인접한 쌍으로 ' ( ) ' 존재하면 레이저이고 그렇지 않으면 쇠막대기이다. 쇠막대기들이 레이저로 잘리게 되면 잘리게 되는 쇠막대기의 수만큼 새로운 쇠막대기 조각이 생긴다. 

 

입력 문자열을 왼쪽부터 검사할 때 여는 괄호 ' ( ' 를 만났다면 쇠막대기의 시작 여는 괄호 이거나 레이저의 여는 괄호 일 수 있다. 다음 문자를 검사하기 전까진 쇠막대기인지 레이저인지 판별할 수 없으므로 다음 문자가 닫는 괄호 일시 바로 전 문자를 검사하여 레이저인지 판별하기 위하여 스택에 push 해주고 쇠막대기의 수를 우선 +1 해준다. (14~18행)

 

입력 문자열을 왼쪽부터 검사하다가 닫는 괄호 ' ) '를 만났다면 쇠막대기의 끝 닫는 괄호 이거나 레이저의 닫는 괄호 일수가 있는데 이때 그전의 문자열을 순서대로 넣어둔 스택을 pop 하여 바로 전의 문자가 여는 괄호였다면 레이저이고 아니라면 쇠막대기라고 볼 수 있다.

 

닫는 괄호가 레이저라면 우선 바로 전의 여는 괄호를 검사할 때 쇠막대기라고 생각하고 쇠막대기의 수를 +1 해줬기 때문에 -1 해준다. (23행) 그 후 쇠막대기의 수만큼 결과를 나타낼 num 변수에 더해주고 다음에 검사할 문자를 쇠막대기인지 레이저인지 제대로 판별하기 위해 스택에 push 해준다. (24~25행)

 

닫는 괄호가 쇠막대기의 끝이라면 num의 값을 +1 해주고 쇠막대기의 수를 -1 해준다. (28~31행)

 

모든 문자를 검사했다면 num 값을 출력해 준다. 끝!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